2024년 04월 20일 토요일

  • 서울 15℃

  • 인천 14℃

  • 백령 12℃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6℃

  • 수원 14℃

  • 안동 14℃

  • 울릉도 13℃

  • 독도 13℃

  • 대전 14℃

  • 전주 16℃

  • 광주 15℃

  • 목포 16℃

  • 여수 15℃

  • 대구 18℃

  • 울산 15℃

  • 창원 16℃

  • 부산 17℃

  • 제주 17℃

현대차, 김상조 경고에도 ‘묵묵부답’··· 지배구조 개선 ‘안하나 못하나’

현대차, 김상조 경고에도 ‘묵묵부답’··· 지배구조 개선 ‘안하나 못하나’

등록 2018.01.09 13:36

수정 2018.01.09 13:59

김민수

  기자

“연말까지 확정해야” 1차 데드라인 못지켜공정위 압박에도 구체적 움직임 아직 없어단기간 대규모 자금 조달 쉽지 않아 고심만‘정몽구→정의선’ 승계 작업 역시 걸림돌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제시한 지배구조 개선 1차 데드라인이 해를 넘겼지만 현대자동차그룹은 여전히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진=뉴스웨이DB)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제시한 지배구조 개선 1차 데드라인이 해를 넘겼지만 현대자동차그룹은 여전히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진=뉴스웨이DB)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배구조 개선이 주요 이슈로 떠오르면서 관련 기업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조세특례제한법 일몰을 앞두고 지주사 전환에 속도를 내는 기업이 있는가 하면 기본적인 밑그림조차 그리지 못한 곳도 존재한다.

특히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취임 직후부터 순환출자가 지배권 승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업으로 지목한 현대차그룹의 고민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김 위원장이 지배구조 개선을 주문한 지 반 년이 지났음에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있다. 일각에서는 순환출자 해소에 대한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제기되는 형국이다.

지난해 11월 공정위가 발표한 ‘2017 공시대상 기업집단 주식소유 현황’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삼성과 롯데, 현대중공업, 대림, 현대백화점 등 10곳과 함께 순환출자를 보유한 기업집단으로 분류됐다. 이 가운데 롯데그룹이 롯데지주 출범과 함께 6개 비상장 계열사를 추가 흡수합병함으로써 ‘순환출자 완전 해소’를 선언한 데 이어 현대중공업도 올해 상반기 안에 순환출자 고리를 완전히 해소할 예정이다.

순환출자는 계열사 간 출자를 통한 자본확충으로 지배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그동안 주요 기업들은 순환출자를 오너일가가 적은 비용으로 그룹 전체의 경영권을 방어하는 도구로 사용해왔다.

현대차그룹 역시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의 경영권 유지를 위해 순활출자를 활용했다. 현재도 현대차그룹은 ‘현대모비스→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현대모비스’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지배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정 회장이 현대모비스 6.96%, 현대차 5.17%를 보유함으로써 계열사 전체를 지배한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현대차그룹이 의사결정 권한과 책임을 일치시키기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현대차그룹이 의사결정 권한과 책임을 일치시키기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

공정위의 요구는 간단하다. 경영권 방어를 목적으로 조성된 순환출자를 해소하고 그룹 의사결정에 가장 큰 권한을 행사하는 정몽구·정의선 부자의 지배력을 명확히 하라는 것이다. 최근 김 위원장은 “3월 주총까지는 구체적인 안이 없더라도 지배구조 개선 계획에 대해 밝혀야 한다”며 2차 데드라인을 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지배구조 개편이 경영권 승계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현대차가 섣불리 움직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재의 순환출자 고리를 해소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후계자인 정의선 부회장이 현대모비스 지분을 직접 매입하면 된다. 이 경우 순환출자 해소는 물론 오너 일가의 그룹 지배력도 확대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오너 일가가 직접 수조원대의 지분 취득 비용을 마련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현대차와 기아차, 현대모비스를 분할·합병해 지주사를 세우는 방안도 주요 시나리오 가운데 하나다. 신설된 지주사가 정의선 부회장이 최대주주로 있는 현대글로비스를 출자 또는 합병함으로써 순환출자와 경영승계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역시 계열사를 쪼개고 다시 붙이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고 주주들의 동의도 장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때문에 재계 안팎에서는 공정위가 기업별로 처한 현실을 감안하지 않고 무조건 밀어붙이고 있다는 불만도 적지 않다. 시간에 쫓겨 서둘러 지배구조 개편에 나섰다가 경영권 자체가 흔들릴 경우 회사는 물론 주주들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반면 다른 대기업들과 달리 총수와 후계자 간 역할 분담이 모호한 그룹 분위기가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지적 또한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총수가 여전히 건재한 상황에서 섣불리 경영권 승계 작업에 돌입할 경우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올 여지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큰 틀의 지배구조 개편 방향성이 정해진 다른 대기업들과 달리 현대차그룹은 섣불리 움직이긴 어려운 상황”이라며 “순환출자를 해소하더라도 실익이 크지 않은 만큼 고민이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