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 서울 22℃

  • 인천 24℃

  • 백령 22℃

  • 춘천 23℃

  • 강릉 17℃

  • 청주 23℃

  • 수원 23℃

  • 안동 21℃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24℃

  • 전주 23℃

  • 광주 24℃

  • 목포 21℃

  • 여수 24℃

  • 대구 26℃

  • 울산 23℃

  • 창원 24℃

  • 부산 22℃

  • 제주 23℃

‘재도약’ 꿈꾸는 저축은행의 성공조건

[기자수첩]‘재도약’ 꿈꾸는 저축은행의 성공조건

등록 2015.01.12 15:12

수정 2015.01.12 16:32

이지하

  기자

‘재도약’ 꿈꾸는 저축은행의 성공조건 기사의 사진

대형저축은행 관계자들이 꼽는 올해 경영화두는 단연 ‘부실털기’와 ‘실적반등’이다.

만성적자의 주범으로 꼽히는 부실채권을 서둘러 털어내야만 실적회복이 가능한 탓이다.

최악의 영업환경과 그간 쌓인 대규모 부실 탓에 적자경영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대형저축은행에게 ‘부실정리’는 생존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자리잡은지 오래다.

2년에 걸친 구조조정으로 저축은행 부실사태가 일단락되는 분위기지만 살아남은 대형저축은행 상당수는 여전히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형사들은 영업력 강화와 부실채권 관리에 심혈을 기울이며 ‘흑자전환’을 2015년 최우선 경영목표로 삼고 있다.

반면 덩치가 적은 중소형저축은행의 새해 다짐은 대형사와는 사뭇 다르다. 최근 흑자폭을 키우며 저축은행업계의 실적 부활을 주도하고 있는 중소형사 입장에서는 ‘실적 높이기’가 주 관심사다.

지역사회와의 유대관계 구축 등 지역밀착 영업을 통해 수년째 흑자경영을 이어 온 만큼 ‘발로 뛰는 영업’ 강화를 다짐하고 있다. 게다가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관계형금융 활성화를 독려하고 있는 만큼 이에 강점을 지닌 중소형사들의 기대감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다만 저축은행업계의 부활은 ‘맏형’ 겪인 대형사가 주도해야 한다. 업계를 대표하는 상징성과 영향력을 지닌 대형저축은행의 실적 반등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저축은행업의 ‘제2의 도약’은 요원해 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금융권의 최대 뇌관이었던 저축은행사태의 주범이 대형저축은행의 ‘부실·방만경영’이었던 만큼 이들이 살아나지 않고서는 엄밀한 의미에서 저축은행의 구조조정은 끝난 것이 아니다.

재도약을 꿈꾸는 대형저축은행들이 2015년 을미년을 맞아 ‘부실’ 꼬리표를 완전히 떼고 진정한 서민금융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 한 해가 되길 기대해본다.

물론 주 고객인 서민들을 대상으로 한 고금리 착취가 아닌 ‘정도경영’에 기반한 페어플레이로 말이다.

이지하 기자 oat123@

뉴스웨이 이지하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