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04일 토요일

  • 서울 17℃

  • 인천 13℃

  • 백령 14℃

  • 춘천 14℃

  • 강릉 15℃

  • 청주 15℃

  • 수원 13℃

  • 안동 13℃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4℃

  • 전주 14℃

  • 광주 12℃

  • 목포 13℃

  • 여수 14℃

  • 대구 15℃

  • 울산 11℃

  • 창원 14℃

  • 부산 12℃

  • 제주 17℃

서울 서초 전셋값 5년동안 2억1000만원 상승

[포커스]서울 서초 전셋값 5년동안 2억1000만원 상승

등록 2014.11.03 10:03

수정 2014.11.03 10:05

성동규

  기자

강남구·송파구 순···도봉구 5899만원으로 상승폭 낮아전세난민 ‘엑소더스’···수도권 주요신도시 도미노 상승

단위:만원, 연말 기준(2014년 10월 31일 기준). 자료=부동산 114 제공 단위:만원, 연말 기준(2014년 10월 31일 기준). 자료=부동산 114 제공


끝도 없이 상승하는 전셋값에 전세난민의 시름이 점차 깊어지는 모습이다. 정부는 최근 ‘10·30 서민 주거비 부담 완화 대책’을 내놓았지만 전세난을 잠재우기에는 실효성이 낮다는 평가여서 전세난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그동안 전세난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애기는 수도 없이 흘러나왔다. 그러나 어디가 얼마나 올랐다는 정확한 수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렇다면 실제 최근 5년 간 서울에서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어딜까.

그 해답은 바로 2009년 평균 3억7061만원(연말 기준)에서올해 5억8017만원으로 치솟은 서초구다. 최근 5년 간 무려 2억956만원이나 상승했다. 그 다음으로는 1억6782이 오른 강남구, 1억6493만원이 오른 송파구 순이었다.

공교롭게도 서울에서 가장 집값이 높은 ‘강남 3구’의 상승세가 가팔랐다. 이는 부동산 부양책을 통해 전세수요의 매매전환으로 전세난을 잡겠다는 정부의 계산이 애초에 어긋났다는 것을 방증한다.

용산구(1억5776만원↑), 성동구(1억5565만원↑), 광진구(1억5279만원↑), 중구(1억4416만원↑), 마포구(1억3921만원↑), 동작구(1억3651만원↑), 영등포구(1억850만원↑), 동대문구(1억597만원↑), 강동구(1억211만원↑) 등은 1억원 이상의 상승폭을 나타냈다.

단위:%. 자료=부동산 114 제공단위:%. 자료=부동산 114 제공


전셋값이 1억원 미만으로 오른 자치구들을 살펴보면 전통적으로 매맷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으로 모두 전셋값이 2억원 초반대에 형성됐고 상승폭 또한 크지 않은 특징을 보였다.

평균 2억59만원으로 서울에서 전셋값이 가장 싼 도봉구는 최근 5년 간 5899만원이 올라 상승폭 역시 가장 적었다. 노원구(5992만원↑), 중랑구 (7040만원↑), 금천구(7525만원↑), 구로구(8155만원↑), 강북·관악구(8271만원↑)등이 뒤를 이었다.

이런 현상은 집값에 연동하는 전셋값의 특성을 고려하면 당연한 결과다. 그러나 상승률로 따져보면 조금 다른 그림이 된다. 성동구가 최근 5년 간 전셋값이 71.9%나 상승해 서울 25개 구 중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마포구 64.5%, 동작구 61.8%, 동대문구 59.5%, 강동구 59.2%, 중구 59.0%, 광진구·송파구 58.6%, 서초구 56.5%, 강북구 55.1%, 성북구 55%, 금천구 54.8%, 서대문구 53.6%, 용산구 53.3%, 은평구 52.8%, 영등포구 51.4% 등 총 19개 구에서 50%이상 인상률을 보였다.

대부분 소득수준이 낮은 지역에서 전셋값 상승률이 높아 세입자가 체감상으로 느끼는 전세난이 더욱 심각할 것으로 분석된다. 강남 3구의 세입자는 전셋값 상승분을 소화할 여력이 되지만 그렇지 않은 지역에선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단위:만원, 연말 기준(2014년 10월 31일 기준). 자료=부동산 114 제공 단위:만원, 연말 기준(2014년 10월 31일 기준). 자료=부동산 114 제공


이런 탓에 서울의 세입자들이 외곽으로 이동하면서 전세난 지역이 넓어지는 도미노 현상마저 발생했다. 금리 인하 등 영향으로 월세전환이 빠르게 진행하면서 전세물건 품귀 현상 탓에 ‘전셋값 상승’이라는 악순환이 반복된 것.

여기에 올해 재건축 이주수요 탓에 하반기 전세난이 가중됐던 것을 미뤄보면 재건축 이주 수요가 더 많은 내년에는 더욱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서울의 극심한 전세난에 경기 등 수도권 지역으로 세입자들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최현일 열린사이버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지금 입주와 전세 물량으로 서울 전세민을 수용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올가을 대대적인 강남권 재개발·재건축 이주수요로 서울과 수도권 전세난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서울로의 접근성이 뛰어난 하남, 성남 등은 전세가율이 평균 70%를 넘는 등 전세난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최근 5년 간 수도권 전셋값 상승폭을 보면 진폭은 다르지만 서울, 경기, 인천 그래프의 움직임이 정확하게 일치한다. 서울의 이주수요가 주변지역 전세난 악화에 영향을 끼치는 탓에 앞으로도 수도권 전역 전세민의 고행이 지속될 것으로 관측됐다.

이런 탓에 전문가들은 정부가 효과없는 대책들로 시장의 내성만 키우지 말고 임차시장 안정을 도모할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팀장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전세대책에서 임대주택 공급 증가 등은 긍정적인으로 보이지만 전월세 보증금 상한제 같은 굵직한 사안이 빠졌다”며 “당장 전세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주거권 보장을 강조하기도 했다. 최승섭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부동산감시팀 부장은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나 등 실질적인 주거안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토지임대부주택과 보유세 강화 등도 병행한다면 더 효과적 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성동규 기자 sdk@

뉴스웨이 성동규 기자

ad

댓글